와 진짜 분량 개많다..
오늘은 CSS 텍스트에 대해 정리를 할 것이다..
내가 새로 알게 된 정보 위주로 정리 예정.
1. 서체의 사용
CSS는 텍스트의 서식을 지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.
서체를 정하고, 서체의 색상과 크기, 줄 간격 등
다양한 속성을 조정하고
표제어나 글머리 기호 목록,
일반 텍스트 단락에 시각적이 효과를 더할 수 있다.
CSS 스타일에 서체를 명시할 땐 font-family 속성을 사용한다.
p {
font-family: Arial;
}
하지만 최근 들어 브라우저는 웹 서체(Web Font)를 지원한다.
사이트를 볼 때 다운되는 서체를 웹 서체라고 한다.
웹 서체도 font-family 속성을 사용하지만,
@font-face 지시어(directive)라는 CSS 명령어를 사용해서
웹브라우저에게 해당 서체를 다운로드 하라고 알려야 사용할 수 있다.
또한, 주요 서체가 없을 경우 사용할 대안 서체까지
명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이다.
p {
font-family: Arial, Helvetica, sans-serif, "Times New Roman";
}
서체 이름이 하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면 "따옴표" 필수.
2. 웹 서체의 사용
웹 서체를 사용하려면 두 개의 명령어가 필요하다.
1) @font-face
지시어는 웹 브라우저에게 서체 이름과 다운받을 위치를 알려준다.
2) font-family
일단 @font-face를 사용해 서체를 다운받으라 알린 다음에
일반 서체와 동일하게 font-family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.
3. @font-face 지시어의 사용법
@font-face 지시어는 일반적인 스타일과 마찬가지로
스타일시트 안에 둔다.
만약에 League Gothic 서체를 사용한다면
League_Gothic-webfont.ttf 같은 이름의
파일이 특정 폴더 안에 있을 것이다.
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이 서체를 다운받도록 하려면,
스타일시트에 @font-face 지시어를 사용하면 된다.
@font-face {
font-family: "League Gothic";
src: url('fonts/League_Gothic-webfont.ttf');
}
src는 브라우저에게 서버의 어디에서
서체를 다운받아야 하는지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.
4. CSS 텍스트 대문자로 고치기
CSS의 text-transform 속성을 이용하면
모든 텍스트를 대문자나 소문자로 만들 수 있고,
각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만들 수도 있다.
이렇게 모두 대문자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font-variant 속성은 소문자를 보통 대문자보다
살짝 작은 대문자로 표시한다.
많은 분량의 텍ㅅ트에 적용하면 가독성을 해치지만,
엄숙한 분위기를 내는 표제어나 캡션에 활용하면 좋다.
5. CSS 텍스트 밑줄 없애기
아 그리고 text-decoration으로 밑줄을 칠 때도 있는데
none 키워드를 사용하면 모든 장식효과를 꺼버릴 수 있다.
(링크 아래쪽에 들어간 밑줄을 없애고 싶다면)
원래 이랬던 애를
이렇게 밑줄을 없앨 수 있다...
6. CSS 텍스트 그림자 효과
text-shadow 속성은 네 가지 정보가 필요하다.
1) 수평 오프셋 (horizontal offset)
텍스트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얼마나 멀리 그림자가
떨어질 것인지를 결정하는 수치
2) 수직 오프셋 (vertical offset)
텍스트 위 또는 아래로 얼마나 멀리 그림자가
떨어지는지를 결정하는 수치
3) 그림자의 가장자리가 번지는 정도 (bluerriness)
4) 그림자 색상 (color)
텍스트에 더하는 그림자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.
따라서
text-shadow: -4px 4px 3px #666, 1px -1px 2px #000;
이런식으로 입력 가능
2탄은 내일....
'CSS3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 바깥여백(margin), 안 여백(padding), 경계선 (0) | 2020.08.15 |
---|---|
CSS 텍스트 서식, 서체(font) 사용하기 (2) (0) | 2020.08.02 |
CSS 하향법칙(cascade) 정리 (0) | 2020.07.18 |
CSS 스타일 계승 (0) | 2020.07.14 |
CSS 선택자 스타일 정리 (기본) (0) | 2020.07.12 |